주민등록번호 뒷자리 3 4 5 6이 지역을 의미하는 숫자?
본문 바로가기
일상 팁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3 4 5 6이 지역을 의미하는 숫자?

by 팁s팁s 2022. 11. 23.
반응형

 

주민등록번호는 총 13자리로 이뤄져있고, 크게 두 묶음으로 나뉘죠. 가각 의미를 갖고 있는데요. 앞에 6자리는 생년월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민번호 앞자리가 860525라면 86년 5월 25일에 태어났다는 거죠.  잘 알려진 내용입니다. 하지만 뒤에 이어지는 7자리는 무분별해 보이지만, 이 숫자들에는 의미와 규칙이 담겨져 있죠.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지역번호 없앤 새로운 주민번호 체계는?

 

새로운 주민등록번호 예시

 

콘텐츠 순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중 성별을 나타나는 7번째 숫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중 지역 번호를 나타내는 8~11번째 숫자
주민번호 뒷자리 중 남은 두 자리는?
주민번호 뒷자리 지역번호가 사라지는 이유는?
새로운 주민등록번호는 체계는 어떻게 될까?

 

 

주민번호 뒷자리 중 성별을 나타나는 7번째 숫자

 

뒷자리 중에서도 첫 번째, 전체로 보면 7번째 숫자의 뜻은 어렵지 않습니다. 성별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보통 1과 2로 나뉘는데, 1은 남자를 2는 여자를 뜻합니다. 다만 이 성별은 태어난 연도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2000년 이후 출생한 남자의 경우 3번을, 여자는 4번이 부여됩니다.

 

5나 6은 1900년대에 태어난 외국인 남성과 여성을, 2000년 이후 태어난 외국인 남성과 여성은 7과 8이 부여됩니다. 

 

지역번호 없앤 새로운 주민번호 체계는?

 

주민번호 뒷자리 중 지역 번호를 나타내는 8~11번째 숫자

 

이번 글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되겠는데요. 남은 여섯 개의 숫자 중 앞 두 자리는 출생 신고를 한 지역에 대한 번호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07이라면 서울에서 태어난 걸 의미합니다. 각 지역의 번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민번호 뒷자리 지역번호 

서울특별시 : 00~08
부산광역시 : 09~12
인천광역시 : 13~15
경기도 : 16~25
강원도 : 26~34
충청북도 : 35~39
대전광역시 : 40
충청남도 : 41~47
세종특별자치시 : 44, 96[11]
전라북도 : 48~54
전라남도 : 55~66
광주광역시 : 55, 56
대구광역시 : 67~69, 76
경상북도 : 70~75, 77~81
경상남도 : 82~84, 86~92
울산광역시 : 85
제주특별자치도 : 93~95

 

 

주민번호 뒷자리 중 남은 두 자리는?

 

남은 두 자리 역시 의미는 주민센터에 출생 신고를 한 순서를 의미합니다. 그러면 자신이 몇 번째로 신고됐는지 알 수 있겠죠? 그리고 마지막 한 자리는 주민등록번호가 문제가 없는지 오류를 확인하는 번호로, 일종의 검증번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민번호를 아무렇게나 입력하면 오류가 나는 이유가 바로 이 숫자 때문이죠.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지역번호가 사라지는 이유는?


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주민등록번호 체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시스템이 1975년에 시작됐으니, 무려 45년 만에 일어나는 변화였죠. 변화의 발단은 바로 지역번호 때문이었습니다. 사실 이 지역번호는 행정 편의를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었는데요. 하지만 지역 다시 말해 출신을 의미하는 꼬리표처럼 악용되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직원 채용시 주민번호를 통해 특정 지역 출신을 거르는 식으로 차별하는 것입니다. 

 

구인광고에 주민번호 뒷자리 지역번호 언급해 논란

 

또 다른 사례도 있습니다. 생년월일과 출신지만 알면 주민등록번호를 쉽게 유추할 수도 있는데,  새터민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에게 부여되는 주민등록번호의 지역 번호는 일괄 지정되는데요. 한때 북한과 인접한 중국에서는 이 지역번호를 확인해 비자를 발급하지 않는 문제까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자칫 인권 침해 문제로까지 비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됐습니다.

 

안성시민이 중국에 못간 이유는 주민번호 때문?

 

 

새로운 주민등록번호는 체계는 어떻게 될까?

 

새로운 체계라고는 하지만 기존과 거의 유사합니다. 기존 생년월일 6자리와 뒷자리의 성별까지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문제가됐던  뒤의 6자리를 임의로 넣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이죠. 이제 지역번호는 아예 사라지게 되는 거죠. 주민등록번호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처리의 근간이 되는 만큼 이전과 너무 다른 형태로 바뀌어버린다면 행정 소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 주민등록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고 기능만 추가하는 식으로 행정 소요 비용을 최소화한 것이죠.

 

지역번호 없앤 새로운 주민번호 체계는?

반응형

댓글